티스토리 뷰
설치
개발을 하면서 보통 간단한 작업에는 Windows의 기본기능인 notepad를 빠르게 활용한다 (윈도우키 + R, notepad)
하지만 로그 분석이나 좀 더 복잡한 기능에는 notepad++을 활용하면 효율적으로 작업이 가능하다.
다운로드 및 자세한 사항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
https://notepad-plus-plus.org/
설정 세팅
1. 폰트 스타일 적용
- 설정 > 형식 설정 > Global Styles > Default Style > 글꼴 형식 및 크기를 설정
- 기본설정의 경우 한글폰트가 너무 작아 가독성이 떨어지기에 폰트 스타일을 변경해주는것이 좋다. 단점은 개별적용이 안되기 때문에 영문폰트도 바뀐다는 것이다. 아래와 같은 국내 개발 폰트를 설치해서 적용해주면 어느정도 해결이 된다.
네이버 나눔고딕코딩 : https://github.com/naver/nanumfont
2. 추가 플러그인 설치
플러그인 > 플러그인 관리 > 원하는 플러그인 체크 및 설치. 개인적으로 자주쓰는 것은 ★ 표시.
- Explorer : 좌측 탐색기 패널
- AutoSave : 자동저장
- ★ Compare : 파일단위 비교분석
- JSON Viewer : JSON 포매팅 및 트리뷰. JSTool에서도 제공.
- ★ JSTool : JavaScript 관련 플러그인. (JavaScript, JSON 포매팅 및 JSON 트리뷰 포함)
- ★ XML Tools : 마크업 랭귀지(ex. HTML, XML) 포매팅 및 다양한 유틸
- ★ MIME Tools : Base64 및 URL Encoding/Decoding
- HEX-Editor : 헥사값 분석
- Preview Html : HTML 작업시 브라우저가 아닌 노트패드 상에서 바로 확인
이외에도 다양한 플러그인과 설정이 있으니 입맛에 맞게 적용해서 사용하면 개발에 큰 도움이 된다.
'Programming > IDE, Tools,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GitHub CLI를 이용한 Label 설정 복제 (0) | 2022.07.06 |
---|---|
[Tistory] 기본 스킨 커스터마이징 (0) | 2022.06.22 |
[VSCode] 클린 설치 및 주요확장 (Windows10) (0) | 2022.06.08 |
[VSCode] Unity 연동 설정 정리 (Windows) (3) | 2022.06.08 |
[VSCode] Pylint의 linting 경고 무시하기 (String statement has no effect pointless-string-statement) (0) | 2022.01.18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gcp
- RuntimeInitializeOnLoadMethod
- async
- 코루틴
- .net
- await
- Scraping
- Singleton
- C#
- selenium
- Addressables
- github
- Python
- 싱글톤
- logging
- 환경설정
- Debug
- initialize
- firestore
- vscode
- 비동기
- Custom Package
- git
- coroutine
- unity
- 닷넷
- framework
- Visual Studio Code
- 유니티
- VS2022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