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문제
윈도우11 네트워크 폴더공유시 정확한 계정정보를 입력했음에도 자격증명에서 잘못된 비밀번호로 접속불가
## 원인
윈도우11부터 윈도우설치시 네트워크 연결상태로 MSA(MicroSoft Account) 연동이 강제되어 로컬계정의 비밀번호가 없는 상태임에도 자격증명에서 MSA가 아닌 로컬계정 정보를 요구해서 발생하는 문제
## 해결
로컬계정의 비밀번호를 추가하여 해결
## 상세
윈도우11 재설치 후, 내부 네트워크망에서 폴더공유시 계속 자격증명이 잘못되었다고 접속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분명 MSA를 정확하게 입력하였음에도 비밀번호가 틀렸다고 나와서 곰곰히 생각해보니 로컬계정을 확인하는것 같았고, 설치 단계에서 로컬계정 비밀번호 설정을 한적이 없다는걸 깨닳았다. (윈도우11이 MSA계정의 앞 5글자로 로컬계정명을 자동으로 생성)
이후, MSA에서 로그아웃하고 로컬계정에 접속해보니 비밀번호 설정이 안된것이 확인되었고, 비밀번호 설정 후 MSA로 재접속하여 폴더공유가 예전처럼 잘 되는것을 확인하였다.
1. 윈도우키 + i : 설정창 접속
2. 좌측 "계정" 선택
3. 우측 "사용자 정보" 선택

4. 계정 설정의 Microsoft 계정에서 "대신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

5. 로컬계정 설정 (개인적으로는 사용자이름을 변경시 문제발생할까봐 그대로 유지하고 비밀번호만 추가)

참고로 MSA로 재접속시 로컬계정 로그인 문구는 아래와 같이 변경된다. (가끔 MSA인증이 잘 안될수도 있는데 재부팅하면 된다)

이후부터 폴더공유시 로컬계정 정보로 접속하거나 "자격 증명 관리자"의 "Windows 자격 증명"에 자격증명을 저장해놓고 사용하면 된다.
MSA로 자격증명이 되거나, 윈도우11 설치단계에 로컬계정도 세팅하도록 했으면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을텐데 MS에서 왜 안고치는지는 의문이다.
'Programming > IDE, Tools,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VisualStudio] 코드 분석 규칙 설정 (필요없는 message 무시) (0) | 2023.03.22 |
|---|---|
| [GitHub] Repository의 License 등록 (0) | 2022.07.27 |
| 개인저장용 개발환경 스타일 세팅 (Theme, Font 등 ) (0) | 2022.07.13 |
| [GitHub] GPG를 사용한 commit signing(서명) (0) | 2022.07.13 |
| [GitHub] 무료계정에서 private 저장소 branch protection rules 흉내내기 (with VSCode v1.69.0) (0) | 2022.07.08 |
- Total
- Today
- Yesterday
- gcp
- Visual Studio Code
- firestore
- 코루틴
- Custom Package
- async
- C#
- framework
- 환경설정
- coroutine
- 싱글톤
- Singleton
- Addressables
- selenium
- await
- VS2022
- vscode
- github
- 유니티
- Python
- .net
- logging
- RuntimeInitializeOnLoadMethod
- 닷넷
- git
- initialize
- Scraping
- Debug
- unity
- 비동기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